직교적 기능을 이용해 확장 가능한 시스템을 설계하기

유닉스는 정말 멋진 시스템입니다.

뉴스레터 93호를 위한 또다른 메모 털기. 요즘 가장 많은 인사이트를 얻는 그룹 대화방에서 얻은 인사이트를 토대로 공부한 기록을 남겨둡니다. 소프트웨어를 '조합 가능하고 되도록 직교적인 최소한의 기능만 있는' 방식으로 설계하는 것의 이점이 크다는 주제로 한 대화였습니다.

학습 재료는 ChatGPT, Grok, Gemini, Claude로 돌린 딥 리서치였습니다. 제가 이걸 꽤 자주 하기 때문에 매번 자동화를 하고 싶은데, 과정에서 얻는 게 많아서 항상 미루게 되네요. 딥 리서치를 위한 프롬프트를 만드는 것 자체도 그렇고, 순차적으로 직접 읽으며 깊이 생각하는 게 다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공부하면서 '유닉스처럼 설계한다'가 가장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심상이겠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리고 이 '직교성'이라는 컨셉은 이후 읽는 다른 글들에서도 자주 오버랩되더군요. 즉 가성비 좋은 공부였다는 것.

딥 리서치 요청

대화방의 주요 대화를 붙여넣고, 이렇게 추가했습니다. 대화방에서 한 분이 '직교적으로 설계된 좋은 예시'로 '오리지널 위키'를 드셨는데요. 그 외에 다른 예시도 궁금했고, 제가 소프트웨어 개발자로서 그러한 설계 능력을 키우려면 어떻게 '과정'을 배우며 학습 전략을 세워야 할지 물었습니다.

## 조사할 것

나는 이러한 "조합 가능하고 되도록 직교적인 최소한의 기능만 있는" 앱의 다른 예시가 오리지널 위키 외에 뭐가 있는지 궁금하고, 또 오리지널 위키를 포함해 그러한 앱은 어떻게 그런 설계/구현을 할 수 있었는지 그 과정이 궁금해.

이를 통해 나도 그런 설계를 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게 목적이야.

## 추가 사항

- 리서치 응답의 하단에는 "불확실성 지도"를 추가해줘. 이 지도에는 네가 가장 덜 자신있는 부분, 지나치게 단순화했을 수 있는 부분, 그리고 어떤 질문이나 추가 정보가 네 의견을 바꿀 수 있을지를 포함해줘.
- 이 리서치를 더 유용하게 만드는 데 있어서 아직 정보가 불충분한 부분이 있다면 리서치하기 전에 내게 질문해줘.

딥 리서치 결과와 한줄평

ChatGPT: https://chatgpt.com/s/68e4671faf888191ba64a7ca3a7d61c8

  • 가장 처음 읽음. 나쁘지 않다고 느낌

Grok: https://drive.google.com/file/d/1dgdGBneuoAqjNOv9qfmaPBaUR49b2E5b/view?usp=sharing

  • 역시나 답변은 짧고 챗지피티와 대동소이해서 실망.

Gemini: https://docs.google.com/document/d/1jk66gfC6VpHMUE3ZQDOMpJjstPd2cUT2GgpzdfinY0o/edit?usp=drivesdk

  • 역사적 맥락에서 구조화된 설명을 해줌. 로그 분석 사례가 아주 좋았음. 마지막 정리도 아주 좋음
  • 마음에 드는 문장이 많음: "노션의 사례는 조합 가능한 단위(composable unit)의 진화를 보여준다. 유닉스의 조합 단위가 텍스트 한 줄이었다면, 비지칼크는 셀, 웹은 하이퍼링크/URL이었다. 노션의 조합 단위는 블록이다. 이는 조합이라는 핵심 원칙은 변하지 않지만, 그 원시 기능 자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풍부해지고 추상화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아키텍트의 과제는 특정 도메인에 가장 강력하고 유연한 '원시 기능'이 무엇인지 식별하는 것이다."

Claude: https://claude.ai/public/artifacts/543130df-3e8a-4160-ad18-566048dad463

  • 다른 데서 들지 않은 사례(vim, git 등), 그리고 실패 사례도 보여준 게 좋음
  • 전체적으로 나쁘지 않았지만 verbose한 느낌. 불확실성 지도 파트는 생각할 거리가 많아서 좋았음.

NotebookLM으로 취합

4개 리서치 결과를 PDF로 저장하여 NotebookLM에 소스로 넣고 이렇게 요청했습니다.

4개 리포트를 최대한 누락없이 합집합으로 취합하여 예시 앱과 인사이트, 설계 원칙을 정리하고 싶어.

결과를 보니 전체적으로 나쁘지 않은 분석을 해줘서 좋더군요. 전체 노트북 링크도 함께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