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등학교 학원 선생님 대상 AI 교육 후기 + AI와 나를 서로 똑똑하게 만들어주는 프롬프트 템플릿 (을 만드는 프롬프트 템플릿)

셀프 인터뷰를 위한 프롬프트를 공유드립니다.

오늘은 중학교 때 제 학원 선생님이셨고, 지금은 파주에서 학원 원장님이 되신 은사님의 요청으로 GenAI 활용 교육을 다녀왔습니다.

선생님들이 중고등학생 교육에 AI를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실용적 질문과 고민을 많이 얘기해주서 저도 유익한 시간이었어요. 예를 들어 "AI가 수식 표현을 너무 못하는데 어떻게 하면 되냐" 같은 질문이 있었는데,

  • 적절히 질문함으로써 Latex라는 키워드를 AI가 뱉게 하고
  • 그걸 이용해 수식을 풀이하고
  • 풀이에 빈칸을 뚫어 적절한 교육용 문제를 만들어내는

것을 라이브로 시연했습니다.

재밌었던 건, 저를 따라서 다른 선생님이 해보셨는데요. 제가 했던 것처럼 친절하게 Latex와 풀이가 따로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냥 Latex로 된 수식만 달랑 줬는데요. 입력이 어떻게 달랐는지 봤더니

  • 이분은 "이 수식을 Latex로 풀이해줘" 라고만 했고, 나는 "풀이를 Latex와 함께 해줘"라고 했음
  • 이분은 본인이 선생님이라는 맥락을 주지 않았음

이런 미묘한 차이가 응답을 다르게 만든 것 아닌가 하는 추측이 되더군요.

교육 실습자료 - AI와 나를 서로 똑똑하게 만들어주는 프롬프트 템플릿 (을 만드는 프롬프트 템플릿)

교육에서 제가 드렸던 실습 중 하나가, 나날이 발전하고픈 개발자를 위한 AI 활용법에서 소개했던 테크닉을 다 짬뽕한 프롬프트를 써보는 거였는데요. 선생님들이 꽤 유용하게 쓰시길래 공유드립니다.

실습: AI와 함께 인지작업 분석하기
아래 포맷에 따라 AI에게 작업 요청을 하는 프롬프트를 작성하려고 해. ``` ## 상황(Situation) 나는 <어디에서 어떤 직책을 맡고 있는 사람>이야. 나는 <이런 어려운/고통스러운 작업>이 있어. 이 작업의 일부 또는 전부를 ‘프로그램화‘해서 내 업무 역량과 생산성을 높이고 싶어. ## 작업(Task) ‘프로그램화’를 위해, 먼저 인지작업 분석(Cognitive Task Analysis)를 스스로 하려고 해. 내가 생각한 메타인지를 위한 질문들은 이런 식이야. - 내가 이 작업 완수를 위해 어떤 순서로 어…

"STICC 포맷으로, 내가 어려워하는 작업에 대한 인지작업 분석(CTA)을 셀프로, 단계별로 할 수 있게 돕는 프롬프트"를 만드는 프롬프트 템플릿이고요. 불확실성 지도 기법이 들어가있습니다. (이게 무슨 말인지 모르시는 분들은 나날이 발전하고픈 개발자를 위한 AI 활용법을 읽어주세요 😉)

첫번째 세션에서 대화하면서 나의 문제와 컨텍스트에 대해 AI에게 설명하고요. 그렇게 해서 프롬프트가 완성되면, 그걸 다시 새로운 세션에 넣어서 다시 대화하면서 셀프 인터뷰를 해보시면 됩니다.

이렇게 해서 '나'와 '내가 어려워하는 작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면, 그걸 해결하는 프로그램을 (아마도 바이브 코딩을 통해) 만들어내기가 훨씬 수월해지실 거예요.